티스토리 뷰

CS/네트워크

[네트워크] ARP, RARP, ICMP

sm.jeon 2023. 6. 24. 13:35
반응형

ICMP와 ARP/RARP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특정 계층으로 설명하기 애매하지만, 보통 네트워크 계층으로 분류한다.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P의 동작 과정에서 전송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해 오류 정보를 송신자에게 회신해 복구작업을 하게 한다.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헤더 구조를 가지며, IP 패킷에 캡슐화되어 전송되지만, IP와 같은 계층으로 취급된다.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통신을 위해서는 자신의 로컬 IP주소와 MAC 주소, 수신 호스트의 IP주소와 MAC 주소가 필요하다. 송신 호스트에서는 로컬 IP 주소와 LAN 카드에 내장된 자신의 MAC 주소, 입력한 주소를 통해 수신 호스트의 IP 주소를 알 수 있지만, 수신 호스트의 MAC 주소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수신 호스트의 IP 주소를 통해 MAC 주소를 제공하는 기능이 필요한데, 이 기능을 담당한다.

 

RARP (Reverse ARP)

로컬 호스트의 주소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데, LAN 카드에 보관된 MAC 주소를 이용해 자신의 IP 주소를 얻어내는 프로토콜이다.

일반 컴퓨터 시스템은 로컬 IP주소가 파일 시스템에 보관되므로 필요하지 않지만, 최초에 자신의 IP주소를 모르는 경우 서버로부터 IP주소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파일 시스템에 저장할 수 없는 호스트 등에서 사용한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