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잡의 원인 1. 네트워크의 처리 능력보다 많은 패킷이 입력되었을 경우 2. 라우터의 출력 선로를 통한 전송 용량 부족 3. 프레임 분실 혹은 Timeout으로 인한 재전송에 의한 트래픽 증가 4. 응답 프레임에 의한 트래픽 증가 5. 피기배킹에 의한 Timeout 6. 잘못된 라우팅 알고리즘 7. 과도하게 크거나, 과도하게 작은 TTL TTL (Time To Live) 네트워크 상으로 송신된 패킷은, 수신 호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무한정 이동하지 않는다. TTL은 패킷의 생존 시간을 의미하는데, 이는 홉을 하나 지날 때마다 1씩 감소시켜 0이 되면 패킷을 삭제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TTL이 16인 패킷은 16개의 라우터를 지나도 수신 호스트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폐기된다. 혼잡 제어 흐름 제어는..
라우팅은 네트워크 계층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입력된 패킷을 수신 호스트가 받게 하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어느 출력 경로를 통해 전달해야 효과적인지까지도 고려해야한다. 가상 회선 방식을 사용하는 연결형 서비스에서의 경로 선택은 연결이 설정되는 시점에 한번만 결정한다. 그러나, 비연결형 방식의 데이터그램은 연결 설정 과정이 없기 때문에 패킷마다 독립적으로 전달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 라우팅에는 모든 전송 패킷에 대해 라우팅 과정이 공평해야 한다는 원칙을 따른다. 이와 동시에, 전체 네트워크 성능과 관련한 효율성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네트워크 성능과 효율성의 요소에는 평균 지연 시간, 전체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영향, 중개 과정의 홉 수 최소화 등이 있다. 정적 라우팅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서 패킷 전..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송 계층
- IP
- 통합점
- 동기점
- 가상 회선
- 링크 상태 라우팅
- 사설 IP 주소
- 데이터링크 계층
- Internetworking
- HTTP
- 거리 벡터 라우팅
- 교환 시스템
- 데이터링크
- 네임 서버
- 와일드카드 마스크
- 리키 버킷
- 네트워크 계층
- TTL
- 네트워크
- 포트 주소
- ECN 패킷
- OSI 7계층
- 세션 연결
- Service Primitive
- 세션 계층
- 서비스 프리미티브
- 혼잡
- 라우팅
- 표현 계층
- 오류 제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