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단 경로 라우팅 단순히 수신 호스트까지의 홉 수를 최소화하는 경로를 선택한다. 거리가 될 수 있는 기준으로는 홉 수 외에 전송 지연 시간, 전송 대역폭, 통신 비용 등이 있다.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터가 인접 라우터와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여 경로를 결정한다. 벨만 포드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홉 수의 제약이 있으므로, 소규모 네트워크에 용이하다. 링크 벡터 - 인접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포트 번호이다. 거리 벡터 - 전체 네트워크의 개별 네트워크까지의 거리 정보이다. 다음 홉 벡터 - 전체 네트워크의 개별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다음 홉 정보이다.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대표적인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다. 인접 ..
라우팅은 네트워크 계층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입력된 패킷을 수신 호스트가 받게 하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어느 출력 경로를 통해 전달해야 효과적인지까지도 고려해야한다. 가상 회선 방식을 사용하는 연결형 서비스에서의 경로 선택은 연결이 설정되는 시점에 한번만 결정한다. 그러나, 비연결형 방식의 데이터그램은 연결 설정 과정이 없기 때문에 패킷마다 독립적으로 전달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 라우팅에는 모든 전송 패킷에 대해 라우팅 과정이 공평해야 한다는 원칙을 따른다. 이와 동시에, 전체 네트워크 성능과 관련한 효율성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네트워크 성능과 효율성의 요소에는 평균 지연 시간, 전체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영향, 중개 과정의 홉 수 최소화 등이 있다. 정적 라우팅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서 패킷 전..
- Total
- Today
- Yesterday
- 네트워크 계층
- HTTP
- 동기점
- 전송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혼잡
- 서비스 프리미티브
- 와일드카드 마스크
- 표현 계층
- 오류 제어
- 세션 계층
- ECN 패킷
- 포트 주소
- 거리 벡터 라우팅
- 데이터링크
- IP
- OSI 7계층
- Service Primitive
- 리키 버킷
- 통합점
- TTL
- Internetworking
- 네트워크
- 네임 서버
- 사설 IP 주소
- 라우팅
- 교환 시스템
- 링크 상태 라우팅
- 가상 회선
- 세션 연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