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네트워크의 크기로 분류할 수 있다.

LAN (Local Area Network)

단일 건물이나 학교 등 가까운 거리의 호스트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규모가 아주 작다면 단일 전송 케이블로 모든 호스트를 연결할 수 있다.

호스트 간의 간격이 가깝고, 호스트가 적기 때문에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한다.

 

호스트 사이의 물리적 거리는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 전송 지연이 적으며, 전송 오류 확률도 낮아진다.

LAN 환경에서 호스트를 연결하는 방식을 토폴로지(Topology)에 따라 버스형, 링형으로 구분한다.

 

토폴로지(Topology)

네트워크의 요소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해 놓은 것 혹은 연결 방식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네트워크가 연결된 형태를 말하는 것이다.

토폴로지는 물리적 토폴로지, 논리적 토폴로지로 나눌 수 있으며, 형태로는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다.

  • 버스 토폴로지
  • 스타 토폴로지
  • 링 토폴로지
  • 트리 토폴로지
  • 이외 다른 형태의 토폴로지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근처에 위치한 여러 건물이나, 도시 지역의 통신망이다.

MAN을 위한 국제 표준안은 DQDB(Distributed Queue Dual Bus)이다. 이는 전송 방향이 다른 두 버스로 모든 호스트를 연결한다.

 

버스로 연결했을때, 양쪽 끝의 호스트의 물리적 거리가 짧으면, 두 호스트 간의 직접 연결을 추가해 신뢰도를 높이기도 한다.

 

WAN (Wide Area Network)

국가 이상의 넓은 지역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조이다.

LAN과 MAN에서는 공유 버스를 이용한 브로드캐스팅을 지원하기 때문에, 라우팅의 개념이 필요 없다. 하지만 WAN에서는 브로드캐스팅을 지원하기 어렵기 때문에 라우팅 기능이 필요하며, 전송 매체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인터네트워킹은 둘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능으로, 게이트웨이(Gateway)가 수행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LAN을 연결하려면, 게이트웨이가 중간에서 중개해야 한다. 이 때, 양쪽 LAN의 종류가 다르다면, 한쪽 LAN의 헤더를 제거하고 다른쪽 LAN의 헤더를 붙인다.

또한, 브리지는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해 올바른 포트로 라우팅하며,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의 포트가 같다면, 이 프레임은 무시해도 된다.

라우팅 테이블 (Routing Table)

라우팅 테이블은 특정 호스트가 어느 포트의 방향에 있는지를 저장해둔 테이블이다.

초기에는 테이블이 비어 수신 호스트의 위치를 모르면 Flooding 알고리즘을 사용해 모든 포트로 프레임을 전달한다.

또한, 프레임의 송신 호스트 주소를 근거로 송신 호스트의 포트를 저장한다.

 

라우팅 프로토콜

고정 경로 배정 - 미리 정해진 루트를 따라 경로를 선택

적응 경로 배정 -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라우터 오류/혼잡 등)에 따라 경로를 선택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Hop Count를 파악하여 라우팅하는 프로토콜이다.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최단경로(최소시간) 우선 프로토콜이다.

BGP(Border gateway Protocol) -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