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RDB

  •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다.
  • row, column이 존재한다.
  • 관계를 통해 데이터를 연결한다.
  • SQL을 통해 접근한다.
  • 데이터의 형식을 지정하여 사용한다. (테이터 형식 변경이 비교적 어려움.)
  • MySql 등이 있다.

NoSQL

  •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다.
  • Key-Value 형태 등으로 데이터 저장한다. (이외에도 Document, Graph, Wide-Column 형태가 있음.)
  • 데이터 형식을 지정하지 않아 구조 변경이나 데이터 형식 변경이 쉽다.
  • RDB에 비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 MongoDB 등이 있다.

In-Memory (NoSQL)

  • 주기억장치에 저장한다.
  • 용량의 크기가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DB에 비해 작다.
  • 데이터 접근 속도가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DB에 비해 빠르다.
  • 안정성이 떨어진다.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 NoSQL 기반의 Redis 등이 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