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사전 작업
AWS EC2 서비스에 인스턴스가 열려있고, 22번 포트(ssh 포트)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여야 한다.
(EC2 콘솔 - 보안 그룹에서 인바운드 규칙 수정)
그리고, 인스턴스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키페어를 이미 생성받아 다운로드 받아둔 상태이다.
ssh로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ssh -i {pem 키 경로} {유저이름}@{호스트 주소}
이상이 없다면 접속이 될 것이다.
만약, bad permission 오류가 뜬다면 pem 키 permission 관련 오류이다.
pem 키를 owner만 읽을 수 있게 만들면 된다.
chmod 400 {pem 키 경로}
Windows의 경우, chmod 명령어가 없어 GUI 통해서 직접 보안 수준을 조정해야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EC2에 접속할 경우, 접속할 때마다 키 경로, 호스트 주소를 입력해야하기 때문에 번거롭다.
그래서, 좀 더 쉽게 접속하기 위해 아래 설정을 해두면 좋다.
SSH Config 설정하기
$ cd \.ssh
$ mkdir .ssh //.ssh directory가 없다면 실행
$ vim config // .ssh directory로 이동하여 config 편집
Config 편집 상태로 들어가면 아래 정보를 입력한다.
Host {접속 시 사용할 호스트 이름}
HostName {EC2 Public 호스트 주소}
User {유저 이름}
IdentityFile {키 경로}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EC2에 ssh 접속을 할 수 있다.
$ ssh {설정한 호스트 이름}
Windows의 경우, Xshell을 사용해 더 쉽게 접속할 수 있다.
반응형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외부에서 도커에 Redis 올리기 (1) | 2024.02.08 |
---|---|
[Docker] 외부에서 MySQL Docker 띄우기 (0) | 2024.02.06 |
[Cron] Cron 표현식 (0) | 2024.01.31 |
[HTTP] HTTP 메소드의 멱등성 (0) | 2024.01.26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데이터링크 계층
- ECN 패킷
- 오류 제어
- 교환 시스템
- TTL
- OSI 7계층
- 포트 주소
- 표현 계층
- 리키 버킷
- 서비스 프리미티브
- 링크 상태 라우팅
- 동기점
- 통합점
- 세션 계층
- 와일드카드 마스크
- 네트워크 계층
- IP
- 데이터링크
- 라우팅
- 사설 IP 주소
- 거리 벡터 라우팅
- 세션 연결
- 가상 회선
- 전송 계층
- Internetworking
- 네트워크
- 네임 서버
- HTTP
- Service Primitive
- 혼잡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