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 카운트 다운
sm.jeon
2024. 1. 24. 00:41
반응형
사용 언어: Kotlin
문제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12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목표 점수 target이 있을 때, 다트를 최소한으로 던진 경우 중, 싱글이나 불을 최대한 많이 맞춘 경우의 각 횟수를 배열에 담아 return한다.
점수가 target을 초과할 수 없다.
제한사항
1 <= target <= 100,000
풀이
점수 N일 때, 다트를 던진 횟수와 싱글 혹은 불을 맞춘 횟수의 쌍을 f(N) = (a, b)라고 정의할 때,
우선, 점수 N (N <= 60)에 해당하는 최적의 값은 아래와 같다.
f(N) = (1,1) (N <= 20) //싱글
f(N) = (1,1) (N = 50) //불
f(N) = (1,0) (20 < N <= 40, N % 2 = 0) //더블
f(N) = (1,0) (20 < N <= 60, N % 3 = 0) //트리플
f(N) = (2,2) (20 < N < 40) // 이외의 경우. 싱글 2번
f(N) = (2,1) (40 < N < 60) // 싱글 1번 + 더블 or 트리플 1번
각 점수 N을 달성하기 위해선, 이전 회차에서 던진 점수의 최적의 경우 + N을 달성하기 위한 점수의 최적의 경우가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61점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21(트리플) + 40(더블) = (2,0) // 첫 회차에서 (1,0), 두번째 회차에서 (1,0)
11(싱글) + 50(불) = (2,2) // 첫 회차에서 (1,1), 두번쨰 회차에서 (1,1)
이때, 21+40의 값이 아닌, 11+50의 값인 (2,2)가 최적의 값이라는 것이다.
이런 규칙은 모든 자연수 N에 적용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dp[i] = i점을 획득하기 위한 (다트를 던진 최소값, 싱글 / 불을 맞춘 최대값)
f(x) = (1,1) (x <= 20) //싱글
f(x) = (1,1) (x = 50) //불
f(x) = (1,0) (20 < x <= 40, x % 2 = 0) //더블
f(x) = (1,0) (20 < x <= 60, x % 3 = 0) //트리플
dp[0] = (0,0)
dp[i] = max(dp[i-X] + f(x)) // X : f(x)에서 정의된 모든 x
코드
fun solution(target: Int): IntArray {
val dp = Array(target+1) { Int.MAX_VALUE to Int.MAX_VALUE }
dp[0] = 0 to 0
for(i in 1 until dp.size) {
for(j in 1..20) { // 싱글
if(i < j) break
val temp = dp[i-j].first + 1 to dp[i-j].second + 1
dp[i] = max(temp, dp[i])
}
for (j in 22..40 step 2) { // 더블
if(i < j) break
val temp = dp[i-j].first + 1 to dp[i-j].second
dp[i] = max(temp, dp[i])
}
for(j in 21..60 step 3) { // 트리플
if(i < j) break
val temp = dp[i-j].first + 1 to dp[i-j].second
dp[i] = max(temp, dp[i])
}
if(i < 50) continue // 불
val temp = dp[i-50].first + 1 to dp[i-50].second + 1
dp[i] = max(temp, dp[i])
}
return intArrayOf(dp.last().first, dp.last().second)
}
fun max(a: Pair<Int, Int>, b: Pair<Int, Int>)
= if(a.first < b.first) a else if(a.first == b.first && a.second > b.second) a else 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