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 라우팅 프로토콜

sm.jeon 2023. 6. 25. 15:27
반응형

최단 경로 라우팅

단순히 수신 호스트까지의 홉 수를 최소화하는 경로를 선택한다.

거리가 될 수 있는 기준으로는 홉 수 외에 전송 지연 시간, 전송 대역폭, 통신 비용 등이 있다.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터가 인접 라우터와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여 경로를 결정한다.

벨만 포드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홉 수의 제약이 있으므로, 소규모 네트워크에 용이하다.

 

링크 벡터

- 인접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포트 번호이다.

 

거리 벡터

- 전체 네트워크의 개별 네트워크까지의 거리 정보이다.

 

다음 홉 벡터

- 전체 네트워크의 개별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다음 홉 정보이다.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대표적인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다.

인접 라우터가 제공하는 거리 벡터 정보가 짧은 시간 내에 도착해야 하며. UD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개별 라우터가 인접 라우터까지의 거리를 구한 후,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라우터에 통보한다.

인접 라우터와 연결된 상황에 변화가 있을 때만 브로드캐스팅 한다..

플러딩 기법을 이용하며,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대표적인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IP와 마찬가지로 홉 수를 기준으로 하지만, 홉 수에 제한이 없어 큰 망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

RIP나 OSPF는 내부 라우팅 용도로 개발되었다.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은 경로에 관한 거리 정보 값이 없고, 단지 어느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만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BGP(Border Gateway Protocol)을 사용한다.

 

반응형